목록전체 글 (365)
공학박사 권경안
우선 고찰인지는 모르겠지만.. 한번 글을 적어보면... 다음과 같은 API 가 있다고 생각해보자. long pfmGetAppNum(); 다음과 같은 API 는 해당프로그램의 Number 를 가져오는녀석이다. 개발자는 코딩을 하면서 다음과 같이 쓸수 있다. printf("프로그램 번호가 몇번이지?? [%ld]", pfmGetAppNum()); 흔히들 다음과 같이 사용할터인데. 이녀석을 다음과 같이 wrapping 하고 있는 상황에서 100% 이해는 솔직히 좀 안간다. long pfmGetAppNum(long *num); 이것이 새롭게 변경된 prototype 이다. 이녀석의 src 를 열어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져야 한다.(아니 그렇게 하고 있다.) long pfmGetAppNum(long *num) { i..
select * from v$resource_limit; 아래와 같은 결과로 processes, sessions 의 개수가 LIMIT 를 넘어서면 ORACLE 에러가 발생할수 있다. ORA-03113: 통신 채널에 EOF 가 있습니다 processes108116 150 150 sessions111119 170 170 enqueue_locks3548 2300 2300 enqueue_resources3561 968 UNLIMITED ges_procs00 0 0 ges_ress00 0 UNLIMITED ges_locks00 0 UNLIMITED ges_cache_ress00 0 UNLIMITED ges_reg_msgs00 0 UNLIMITED ges_big_msgs00 0 UNLIMITED ges_rsv_ms..
영어회화학원. 영어회화클럽. 화상영어. 워킹홀리데이. 어학연수. 해외유학. 해외취업. 석사학위. 박사학위. 배낭여행. 홍대클럽. 하고싶은것이 너무 ㅁ낳은 서른살 프로그래머. 그래서 너무 정신이 없다. 하나씩 해야하는데 모두한번에 하고 싶어서 방황하는 요즘.
간단하게 설명이 잘되어져 있는 포스트를 링크합니다 ^ ^ http://blog.naver.com/swinter8/130000715438 SAX 와 DOM 의 장단점을 잘 파악해서 사용하는것이 좋겠지요. 무엇이 더 좋다라고는 판단못할것같군요^^ SAX (Simple API for XML)두가지 파서 객체 기반 (Object-based) Interface : DOM 메모리 상주 트리 이용, 문서 전체를 로드 응용에서 간단히 사용 이벤트 기반 (Event-driven) Interface : SAX 문서를 순서대로 읽어 들이면서 해당 메소드를 처리 파서가 간단, 응용프로그램은 복잡 SAX history W3C 표준이 아니다, OASIS 그룹(http://www.oasis-open.org/)에서 시작, David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