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전체 글 (357)
공학박사 권경안
우연히 Daum 블로그뉴스를 읽던중. 취업준비생이시라는 분의 글을 읽어보았습니다. 3D 가 아니라 이제는 4D 라 분류되는(이런말자체를 처음들었네요-.-) 현실이더군요. 저도 소프트웨어공학과를 졸업해서 현재 프로그래머로써 일을 하고 있습니다. 이글은 조금씩 업데이트하고 수정할까 합니다. 워낙에 글제주가 없어서요.. 몇가지 주제를 나눠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. (공대[특히 IT]가 아닌 문과계열에 대해서는 잘몰라서 비교하기가 조금 그렇네요^^) 취업 - 2년제.4년제든 졸업을 앞두거나 졸업을 한 상태에서 IT 회사로의 취업이 그리 녹녹하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합니다. 하지만 가장큰 원인은 눈높이에 있는것 같습니다. 눈높이만 아주조그만 내려도 취업할수 있는곳은 너무나도 많은것같습니다.(지극히 개인적이지만 주변..
다음은 strncpy 를 STRNCPY 로 DEFINE 한것이다. #define STRNCPY( t, s, len) do { strncpy(t, s, len); *(t+len) = 0; } while(0) strcpy 의 잘못된 호출로 인해 strncpy 를 사용하라고 하지만 그또한 잘못될수 있기에 다음과 같은 macro 를 제공할수 있다.
우선 고찰인지는 모르겠지만.. 한번 글을 적어보면... 다음과 같은 API 가 있다고 생각해보자. long pfmGetAppNum(); 다음과 같은 API 는 해당프로그램의 Number 를 가져오는녀석이다. 개발자는 코딩을 하면서 다음과 같이 쓸수 있다. printf("프로그램 번호가 몇번이지?? [%ld]", pfmGetAppNum()); 흔히들 다음과 같이 사용할터인데. 이녀석을 다음과 같이 wrapping 하고 있는 상황에서 100% 이해는 솔직히 좀 안간다. long pfmGetAppNum(long *num); 이것이 새롭게 변경된 prototype 이다. 이녀석의 src 를 열어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져야 한다.(아니 그렇게 하고 있다.) long pfmGetAppNum(long *num) { i..